2021

.
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뇌신호 기반 외국어 단어학습 과정 기억형성 예측 분석 소프트웨어,” 등록번호: C-2021-054197, 2021. 12. 09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로그 리만 거리 행렬과 혼동 영역 점수를 이용한 운동 심상 분류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21-052130, 2021. 12. 01.
  •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BERT(버트)를 기반으로 한 중국 소셜 네트워크 웨이보 서치엔진,” 등록번호: C-2021-051721, 2021. 11. 30.
  •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, “귀 주변에서 측정된 유사 심전도 기반 개인 인증 시스템,” 등록번호: C-2021-050695, 2021. 11. 25.
  •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, “개인별 보행 패턴 기반의 생체 인증 시스템,” 등록번호: C-2021-050691, 2021. 11. 25.
  • 광주과학기술원, “정상상태 시각유발전위 뇌파 활용 오델로 보드 게임”, 등록번호: C-2021-043891, 2021. 11. 01.
  • 한국과학기술원, “임의의 아타리 게임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 및 이이지 신호 기록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21-041027, 2021. 10. 18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발화상상에 따른 뇌파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21-032720, 2021. 08. 18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장기 기억을 예측하는 분석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21-032739, 2021. 08. 18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전이 학습을 활용한 사용자의 미세수면 검출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21-032738, 2021. 08. 18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상관계수 특징을 이용한 기능적 근적외 분광법 기반의 스트레스 분류,” 등록번호: C-2021-022739, 2021. 06. 04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자이로센서 데이터를 이용한 침입 탐지 시스템,” 등록번호: C-2021-022753, 2021. 06. 04.

2020

.

  • 광주과학기술원, “SSVEP 기반 BCI기술 활용 러닝 액션게임,” 등록번호: C-2020-043917, 2020. 11. 23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운동 심상 EEG 최소/최적 전극 선택 알고리즘,” 등록번호: C-2020-039538, 2020. 11. 04.
  •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뇌파 데이터 졸음 감지 분류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20-039460, 2020. 11. 04.
  • 한국과학기술원, “계산모델의 파라미터 복구 분석을 통한 신뢰도 검증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20-033936, 2020. 10. 06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Rapid-Serial-Visual-Presentation(RSVP, 연속 시각 자극 제시)을 이용한 색상 구분 EEG 실험 패러다임,” 등록번호: C-2020-033306, 2020. 09. 28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상호정보량 추정기기반의 클래스 관련 공통 특징 추출 및 분류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20-032522, 2020. 09. 15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뇌파 신호를 이용하여 기억력과 무의식간의 상관성 분석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20-030069, 2020. 08. 31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뇌 신호에 대한 발화 상상 분류의 전이학습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20-030067, 2020. 08. 31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이동환경에서 잡음에 강인한 뇌 신호 기반 사용자 의도 인식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20-030068, 2020. 08. 31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뇌신호를 사용하여 관찰된 시각 자극을 분류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20-030066, 2020. 08. 31.
  • 광주과학기술원, “정상상태 시각유발전위 기반 BCI기술 활용 숫자 키패드 프로그램 (SSVEP Number Speller),” 등록번호: C-2020-024758, 2020. 07. 29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fNIRS를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유발 산술 시뮬레이션,” 등록번호: C-2020-023311, 2020. 07. 01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정서적 자극 비율에 따른 인지 시뮬레이션,” 등록번호: C-2020-022713, 2020. 07. 01.
  •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, “귀 뇌파와 딥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기면상태 감지 소프트웨어,” 등록번호: C-2020-018169, 2020. 06. 01.
  •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, “딥러닝을 이용한 안정상태 뇌파 기반 개인 인증 소프트웨어,” 등록번호: C-2020-018170, 2020. 06. 01.

2019

.
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상호정보량을 이용한 피험자 간 뇌파의 공통 특징 추출 및 분류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9-033160, 2019. 11. 13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뇌전도 신호의 분해를 이용한 상관관계 계수 기반 의도 인식 알고리즘,” 등록번호: C-2019-132219, 2019. 11. 06.
  • 한국과학기술원, “뇌파 기반 범용 인지 상태 디코더,” 등록번호: C-2019-030959, 2019. 10. 31.
  • 광주과학기술원, “SSVEP BCI기술 활용 두더지 잡기 뇌파 게임 (Mind Mole Catching),” 등록번호: C-2019-029998, 2019. 10. 23.
  •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상태-공간 모델링 기반의 뇌파 스펙트럼 실시간 추정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9-030539, 2019. 10. 19.
  •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딥러닝 기반의 다단계 특징량 융합 기법을 이용한 뇌파 디코딩 시뮬레이터,” 등록번호: C-2019-028428, 2019. 10. 08.
  •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귀-뇌파 특화 재참조 소프트웨어,” 등록번호: C-2019-018056, 2019. 06. 26.
  •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운전자 뇌 신호의 각성 상태 추정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9-029563, 2019. 10. 21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정밀한 타이밍의 BCI용 샘플링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9-029429, 2019. 10. 11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저전력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중연결 정보송수신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9-029430, 2019. 10.05.  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CNN 분류기를 사용한 fNIRS 뇌영상 분류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9-029431, 2019. 10. 02.  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이벤트 관련 비동기화를 이용한 사용자 식별율을 향상시키는 뇌파기반의 생체인증 시스템,” 등록번호: C-2019-026695, 2019. 09. 20. 
  •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다중뇌파신호를 이용한 뇌-컴퓨터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의도 시점 검출 알고리즘,” 등록번호: C-2019-026620, 2019. 09. 02.
  •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NIRS(근적외선 분광기법) 기반 BCI(뇌 컴퓨터 인터페이스) 성능 향상을 위한 최적의 채널 선택 소프트웨어,” 등록번호: C-2019-026621, 2019. 09. 02.
  •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사람의 수면 상태 분류 소프트웨어,” 등록번호: C-2019-026622, 2019. 09. 02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이동환경에서 뇌 신호에 포함된 움직임 잡음 제거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9-023802, 2019. 08. 29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발화 상상, 시각 상상 및 실제 발화에 따른 사용자 의도 인식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9-023805, 2019. 08. 29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수술 전 뇌파를 활용한 사용자의 마취제 민감도 예측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9-023746, 2019. 08. 28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공간-주파수 특징맵을 통한 딥러닝 기반의 뇌파 분류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9-023754, 2019. 08. 28.

2018

.
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위험 부담 성향 측정 실험 패러다임,” 등록번호: C-2018-035788, 2018. 12. 03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뇌생체신호 습득을 위한 알고리즘,” 등록번호: C-2018-035454, 2018. 11. 29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블록체인 기반의 뇌생체신호 데이터 보안시스템,” 등록번호: C-2018-035453, 2018. 11. 29.
  • 한국과학기술원, “강화학습을 이용한 적응형 뇌파 분석 소프트웨어,” 등록번호: C-2018-035437, 2018. 11. 29.
  • 한국과학기술원, “순환신경망 기반 학습전략에 종속적인 행동의도 추정 알고리즘,” 등록번호: C-2018-035438, 2018. 11. 29.
  •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뇌 신호의 웨이블릿 변환 및 숫자 시각 자극 분류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8-035052, 2018. 11. 27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바이노랄 비트와 ASMR(자율 감각 쾌락 반응) 트리거를 이용하는 뇌파 유도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8-030516, 2018. 11. 06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지역 분석 기반의 FBCSP(필터 뱅크 공통 공간 분포) 기법을 이용한 운동심상 분류,” 등록번호: C-2018-031375, 2018. 11. 05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전극별 주파수 가중치 필터를 이용한 운동 심상 분류 방법,” 등록번호: C-2018-031376, 2018. 11. 05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능동소음제거와 상관관계를 이용한 운동심상 분류,” 등록번호: C-2018-031377, 2018. 11. 05.
  •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게이트 순환 유닛 기반 시각 자극으로부터 얻은 대용량 뇌파 분류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8-029872, 2018. 11. 01.
  • 광주과학기술원, “위상-진폭 연결성 추출 및 통계 검증 소프트웨어,” 등록번호: C-2018-029215, 2018. 10. 29.
  •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NIRS기반 BCI패러다임에서의 최적의 특징 추출 방법,” 등록번호: C-2018-025799, 2018. 10. 01.
  •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순환신경망 기반 뇌파 분류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8-023537, 2018. 09. 04.
  •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안정상태 뇌파 기반 개인 인증 소프트웨어,” 등록번호: C-2018-004367, 2018. 02. 01.

2017

.

  • 한국과학기술원, “뇌파데이터에 따른 메타 강화학습 모델 게이트 reinforcement learning gate of DNN classifiers for EEG,” 등록번호: C-2017-031514, 2017. 12. 05.
  • 한국과학기술원, “뇌파기반 사용자 메타 강화학습 전략 추정기 EEG based Meta reinforcement learning classifier,” 등록번호: C-2017-031513, 2017. 12. 05.
  • 한국과학기술원, “메타 강화학습 문맥정보 추출기 Meta reinforcement learning context data extractor,” 등록번호: C-2017-031512, 2017. 12. 05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인지 과제 중 하나인 작업 기억에 기반한 뺄셈을 수행하는 동안 피실험자에게 화면을 보여주고 반응을 입력 받는 프로그램 ver. 1.0,” 등록번호: C-2017-030877, 2017. 11. 30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볼룬 모델에 기반한 비선형 상태-공간 모델을 설계하여 확장된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근적외선 분광법의 소음을 제거하는 알고리즘 ver. 1.0,” 등록번호: C-2017-030876, 2017. 11. 30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Wireless near infrared spectroscopy data measuring and tranceiving program by using arduino fNIRS module(아두이노를 이용한 근적외선 분광기 신호),” 등록번호: C-2017-030079, 2017. 11. 24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Real time near infrared spectroscopy optical level display(실시간 근적외선 분광기 신호 강도 표시 사용자 인터페이스) ver. 1.0,” 등록번호: C-2017-030078, 2017. 11. 24.
  •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, “다양한 햅틱 자극 제어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7-030091, 2017. 11. 24.
  •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, “맥파 측정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7-030090, 2017. 11. 24.
  •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, “기능적 전기 자극 제시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7-030089, 2017. 11. 24.
  •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, “모션 센서를 이용한 동잡음 구간검출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7-030088, 2017. 11. 24.
  •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, “심전도 측정 및 모니터링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7-030087, 2017. 11. 24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사용자의 움직임 상상 관련 뇌 신호 획득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7-029110, 2017. 11. 20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지역간 뇌전도 공통 공간 패턴(CSP) 특징을 이용한 운동 심상 분류,” 등록번호: C-2017-029078, 2017. 11. 20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회전행렬을 이용한 채널간 상관관계 기반 운동 심상 분류,” 등록번호: C-2017-029077, 2017. 11. 20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운전 중 발생하는 돌발상황 관련 뇌 신호 통합분석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7-029076, 2017. 11. 20.
  •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뇌 신호의 시계열 분석을 위한 시각화 프로그램,” 등록번호: C-2017-029075, 2017. 11. 20.
  •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, “컨벌루션 뉴럴 네트워크 기반 뇌파 신호 인식,” 등록번호:C-2017-02819, 2017. 11. 13.